Java/JAVA SE? EE? ME?

Java SE? Java EE? Java ME? :) Java 플랫폼의 이해

euncheol kim 2022. 3. 15. 21:24

goal

Java SE / EE / ME에 대해서 이해한다.


우리는 왜 Java를 배우는가?
우리가 Java를 배우는 이유는 개발이라는 공통적인 목적이 있다.

"Java로 모바일 앱을 개발해볼까? 웹 사이트를 개발해볼까?"
우리가 지우개로 지울 수 있는 펜으로 글을 작성한다고 가정하자.
위 상황에서 볼펜으로 글을 쓰는 게 바람직할까? 그렇지 않다. 위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연필이나 샤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개발을 할 때도 목적성에 맞는 것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절한 도구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Java SE와 EE 그리고 ME가 뭔데?
앞서 말했던 것처럼 개발을 위한 도구를 의미한다. 간략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개발환경 (플랫폼) 설명
Java SE (Standard Edition) 데스크톱, 서버,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을 위한 표준 자바 플랫폼으로
자바의 기본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Java EE (Enterprise Edition) Java SE에 웹서버 역할을 추가한 것으로 웹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 자바를 이용한 서버측 개발을 위한 플랫폼이다.
- JSP, Servlet, EJB, JDBC, JNDI, JTA, EJB등의 많은 기술이 있다.
Java MM (Micro Edition) 휴대폰, 셋톱 박스, PDA 같은 소형장치에서 실행되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경량화된 기술들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JSP, Servlet, EJB, JDBC 등.. 혼란스러울 것이다. 글을 쓰는 나도 공부하는 입장이라 혼란스럽다.
표를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핵심은 개발 목적에 따라 Java 플랫폼이 달라진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었다.


앞으로의 공부 계획

웹 서비스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 이해하고 Servlet, JSP를 공부해 나갈 예정이다.